OSI Model
Open Systems Interconnection =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
'네트워킹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'에 대한 기본 개념
OSI 7Layers
Data | Layer | 특징 |
Data | Application | 7레벨: 응용 계층 - 앱 상의 네트워크 - HTTP |
Data | Presentation | 6레벨: 표현 계층 - 7레벨에 적용되는 데이터 형식, 코딩, 변환 기능 - 파일 확장자 |
Data | Session | 5레벨: 전송 계층 - 통신 장치간의 상호작용 설정, 유지, 관리 |
Segments | Transport | 4레벨: 전송 계층 - 데이터 흐름 제어 - TCP(제어, 관리, 책임감 있음), UDP(무책임적) |
Packets | Network | 3레벨: 네트워크 계층 - 논리 주소 정의 - IP 주소 |
Frames | Data Link | 2레벨: 데이터 링크 계층 - 데이터 오류 감지, 복구 - MAC 주소 |
Bits | Physical | 1레벨: 물리계층 - 전압 레벨, 데이터 속도, 최대 전송 거리, 커넥터.. - 케이블, 모뎀, 리피터 |
OSI 모델의 캡슐화와 디캡슐화
각 계층별로 자신만의 헤더를 붙여서 보낸다.
편지 봉투에 넣는 과정을 캡슐화라고 한다.
데이터를 받는 입장에서 헤더를 벗겨내는 것을 디캡슐화라고 한다.
URL
Uniform Resource Locator ,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
http://www.jamescode.tistory.com :8080/123.html
http:// | www.jamescode.tistory.com | :8080 | /123.html |
- 프로토콜 ex) ftp, mailto |
layer3: 네트워크 계층(IP) - 웹 서버명-> DNS명-> IP주소로 치환 |
layer4: 전송 계층(port) - 포트명 |
layer7: 응용 계층 - 데이터 출처(리소스)경로 |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SOLID Pattern 맛보기 / 객체지향설계원칙 / 디자인패턴 (0) | 2022.01.21 |
---|